redcord 님의 블로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redcord 님의 블로그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56) N
    • 2025년 달라진 정책 (13)
    • 우리사회 엿보기 (13)
    • 연예계 소식 (0)

검색 레이어

redcord 님의 블로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연말정산 서비스 개통…소득초과 부양가족 공제 원천 차단

    2025.01.18 by redcord

  • 꽃다발도 중고거래? 졸업시즌 꽃 가격 '58%' 급등? 사실은

    2025.01.17 by redcord

  • 안전 재난문자 확대 - 눈내릴때, 고속도로 살얼음 정보

    2025.01.16 by redcord

  • 2025년부터 달라지는 세법 - 전자세금계산서 등 세액공제 적용기한 연장

    2025.01.16 by redcord

  • 2025년부터 달라지는 주택 관련 세제 및 규정 변화

    2025.01.15 by redcord

  • [2025년부터 달라지는 세법] 명의위장 사업자 가산세 강화

    2025.01.14 by redcord

  • 2025년부터 달라지는 세법 [세무조사 사전통지 기간 합리화]

    2025.01.14 by redcord

  • 2024~2025 변경된 연말정산 주요 내용

    2025.01.14 by redcord

연말정산 서비스 개통…소득초과 부양가족 공제 원천 차단

2025년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이렇게 달라졌어요!올해 국세청은 근로자가 연말정산을 더 쉽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대폭 개선했습니다. 부양가족 공제 실수 예방, AI 상담 도입, 중복 공제 방지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여 납세자의 편의를 높였어요. 아래에서 주요 변경사항을 하나씩 살펴볼게요.   1. 부양가족 공제 실수 예방왜 문제가 됐을까요?기존에는 근로자가 부양가족 공제 대상 여부를 직접 확인해야 했어요. 만약 소득 기준을 넘은 가족을 공제 대상으로 잘못 포함하면, 나중에 과다공제로 인해 최대 40%의 가산세를 내야 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 실수는 납세자에게 큰 불편을 주었죠.어떻게 바뀌었나요?올해부터는 국세청이 소득 기준 초과 부양가족 명단을 간소화 서비스에서 제공해요..

2025년 달라진 정책 2025. 1. 18. 09:00

꽃다발도 중고거래? 졸업시즌 꽃 가격 '58%' 급등? 사실은

졸업 꽃 가격과 설맞이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이야기    1. 졸업 꽃 가격 정말 많이 올랐을까요?졸업식이 한창인 요즘, 축하 꽃다발이 빠질 수 없죠. 그런데 일부 뉴스에서 "꽃 가격이 많이 올라서 졸업 꽃다발을 중고로 구입한다"는 이야기가 나왔어요. 정말일까요?사실 확인:뉴스에서 언급된 가격은 올해 1월 평균 가격과 지난해 졸업 시즌(특정 기간)의 가격을 비교한 것으로, 정확하지 않아요. 꽃은 졸업식처럼 수요가 몰리는 시기에만 가격이 조금 올라가지만,올해 졸업 시즌의 평균 가격은 작년보다 오히려 내려갔어요!거베라 한 단: 작년보다 10.5% 하락 (약 1만900원)장미 한 단: 작년보다 10.5% 하락 (약 1만6,100원)프리지어 한 단: 작년보다 1.2% 하락 (약 4,700원)공급 상황:이번 졸업 ..

우리사회 엿보기 2025. 1. 17. 09:00

안전 재난문자 확대 - 눈내릴때, 고속도로 살얼음 정보

2025년, 이렇게 달라져요!2025년부터는 국민의 안전과 편리한 생활을 위해 다양한 정책이 새롭게 시행되거나 확대됩니다. 중학생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서 설명해드릴게요!    1. 눈이나 비가 많이 올 때 안전문자가 전국으로 확대돼요!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비나 눈이 한꺼번에 많이 오는 날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요. 이런 상황에서는 도로가 잠기거나, 눈길에서 미끄러지는 사고가 생길 수 있어요. 이를 예방하기 위해 정부가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전국으로 확대하기로 했어요.호우 긴급재난문자 전국 확대지금까지는 서울, 경기 같은 수도권과 경북, 전남 일부 지역에서만 폭우와 관련된 긴급문자를 받을 수 있었어요. 하지만 2025년부터는 전국 어디에서나 폭우 경고 문자를 받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제주도나 ..

2025년 달라진 정책 2025. 1. 16. 13:05

2025년부터 달라지는 세법 - 전자세금계산서 등 세액공제 적용기한 연장

2025년부터 달라지는 세법에 따르면, 전자세금계산서 등 세액공제의 적용 기한이 연장됩니다. 이를 쉽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세액공제 기한 연장전자세금계산서 발급과 관련된 세액공제 적용 기한이 기존 2024년 12월 31일에서 2027년 12월 31일까지로 연장되었습니다. 이는 공제 혜택을 더 오랜 기간 동안 받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적용 대상이 혜택은 직전 연도 공급가액이나 사업장별 총수입금액이 3억 원 미만인 개인사업자와 신규 사업자(개인)에게 적용됩니다. 즉, 사업이 작은 규모이거나 새로 시작한 사업자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공제 금액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시 건당 200원이 공제되며, 연간 100만 원 한도 내에서 적용됩니다.결론적으로, 전자세금계산서 관련 세액공제 혜택이 연장되어 소규모 개..

2025년 달라진 정책 2025. 1. 16. 09:00

2025년부터 달라지는 주택 관련 세제 및 규정 변화

2025년부터 달라지는 주택 관련 세제 및 규정 변화 2025년부터 주택과 관련된 다양한 세제 및 규정이 새롭게 바뀝니다.바뀐 정책들을 한번 볼까요?     1. 인구감소지역 주택 취득 시 1세대 1주택 특례 신설주택 요건2024년 1월 14일부터 2026년 12월 31일 사이에 인구감소지역 내 공시가격 4억 원 이하의 주택을 취득하면, 1세대 1주택 특례가 적용됩니다.과세 특례양도소득세: 주택 매도 시 12억 원까지 비과세 및 장기보유특별공제 최대 80% 적용종합부동산세: 기본공제 12억 원 적용(다주택자는 9억 원), 고령자·장기보유 세액공제 최대 80%  2. 주택 청약 시 비아파트 무주택 간주 기준 완화청약 시 빌라 등 비아파트 구입자도 무주택자로 인정받을 수 있는 범위가 확대됩니다.기존 기준:주..

2025년 달라진 정책 2025. 1. 15. 15:31

[2025년부터 달라지는 세법] 명의위장 사업자 가산세 강화

조세회피를 방지하고, 올바른 경제 질서 확립을 위해 명의위장 사업자에 대한 가산세가 강화됩니다. 2025년부터 세법이 일부 변경되며, 특히 "명의위장 사업자"에 대한 가산세가 강화됩니다. 이를 쉽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명의위장 사업자란?명의위장 사업자는 실제로 사업을 하지 않거나, 다른 사람의 명의를 빌려 사업을 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런 경우 세금을 제대로 내지 않거나 탈세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세법 변경 사항2025년부터 명의위장 사업자에게 부과되는 가산세가 기존보다 더 높아집니다.일반과세자의 경우: 기존에는 1%였던 가산세가 2%로 2배 증가합니다.간이과세자의 경우: 기존에는 0.5%였던 가산세가 1%로 2배 증가합니다.적용 시점이 규정은 2025년 1월 1일 이후부터 적용됩니다. 즉, 20..

2025년 달라진 정책 2025. 1. 14. 17:06

2025년부터 달라지는 세법 [세무조사 사전통지 기간 합리화]

2025년부터 세무조사와 관련된 사전통지 기간이 변경되어 납세자의 권익 보호가 강화됩니다.기존에는 세무조사 통지를 15일 전에 해야 했지만, 이제는 20일 전에 통지해야 합니다.특히, 불복 청구로 인해 재조사가 결정된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7일 전에 통지할 수 있는 조항이 신설되었습니다.이 변경 사항은 2025년 1월 1일 이후 통지되는 세무조사부터 적용됩니다.이러한 개정은 조사 절차의 투명성을 높이고 납세자의 준비 기간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 2025년부터 달라지는 세법- 세무조사 사전통지 기간 합리화 · 조사대상 세목, 조사기간 및 조사 사유 등 통지 시    - (종전)15일 전 통지 → (개정)20일 전 통지 · 불복 청구 등의 재조사결정에 따른 재조사의 경우    - 7일 전 통지(예..

2025년 달라진 정책 2025. 1. 14. 15:57

2024~2025 변경된 연말정산 주요 내용

2024년 귀속 소득에 대한 세법 개정 사항이 반영되어 여러 변화가 있습니다.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결혼·출산·양육 지원 강화결혼 세액공제 신설: 2024년부터 2026년까지 혼인신고를 한 부부는 생애 한 번에 한해 각각 50만 원씩, 최대 100만 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정책브리핑출산·보육수당 비과세 한도 상향: 근로자 본인 또는 배우자의 출산이나 6세 이하 자녀의 보육을 위해 기업이 지급하는 수당의 비과세 한도가 월 10만 원에서 월 20만 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flex – HR Service as a Software출산 지원금 비과세 적용: 출산 후 2년 이내에 기업이 지급하는 출산지원금은 전액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  flex – HR Servic..

2025년 달라진 정책 2025. 1. 14. 15:4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4 5 6 7
다음
TISTORY
redcord 님의 블로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